
인증: 25일차 1. 나에게 자기계발은 어떤 의미인가요?저에게 자기계발은, 앞으로의 나라는 그릇을 점진적으로 넓히거나 채우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진정한 나와 나의것을 찾아서 체화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2. 요즘 관심있게하고 있는 자기계발은 무엇인가요?한달어스에서 꾸준히 독서도 하고 있지만 저는 현재 개발자로 일하고 있으므로 사이드프로젝트를 하고 있어요. 동료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스킬, 복잡한 요구사항과 기획과정을 이해하여 코드를 나타내는 과정, 문제해결 등 사이드 프로젝트에도 많은 능력을 요구하고 있죠 물론 어려워요. 중간에 포기하고 싶었던적도 많았지만 더이상은 도망가고 싶지 않아요. 그리고 저와함께 자신의 맡은바를 묵묵히 하고있는 동료들의 격려와 배려, 이해덕분에 도망치지않고 부딪혀보기로 했어요!..

인증 24일차: 아주작은 습관의힘 / 제임스 클리어 인상깊은 부분 - (1)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고 말한다. (중략) 나는 내가 얻어낸 결과들이 처음에 세웠던 목표와는 거의 관계가 없고, 사실 모든 것은 시스템에 달려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2) 실제로 승리할 유일한 방법은 매일 더 나아지는 것뿐이다. (3) 목표는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하며 시스템은 과정을 제대로 해나가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목표를 생각하느라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이고 시스템을 고안하는데는 시간을 투자하지 않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4) 성공한 사람도, 성공하지 못한 사람도 목표는 같다. 목표 설정에 집중하다보면 심각한 승자 편향적 사고에 매몰될 수 있다. 우리는 승리한 사람들에게 집중한..

인증 23일차 : 아주작은 습관의 힘 / 제임스 클리어 인상깊은 부분 - 0도가 된다. 얼음이 녹기 시작한다. 온도는 그전까지도 계속 올랐지만 변화가 없어 보였다. 그러나 영하 1도에서 1도가 더 오르자 거대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1) 이처럼 중대한 돌파구 속의 순간이란 대개 이전의 수많은 행위들이 쌓이고 쌓인 결과다. 이런 것들이 잠재돼 있던 힘을 발휘해 주요 변화를 일으킨다. 이런 패턴은 어디서나 나타난다. (2) 습관 역시 대부분 중대한 한계점에 도달해서 새로운 성과를 보이기 전까지는 아무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과정의 초기와 중기에는 이른바 '낙담의 골짜기'가 존재한다. 우리는 발전이 직선적으로 나타나리라 기대하지만 처음의 며칠, 몇 주, 심지어 몇 달 동안은 별 효용없는 변화들만 ..

인증 22일차: 아주작은 습관의 힘 / 제임스 클리어 (1) 아주작은 습관들이 모이면 얼마나 놀라운 힘을 발휘하는지 말이다. (2) 먼저 내인생을 정돈하는데 집중했다. 동기들이 늦은밤까지 비디오게임이나 하는 동안 나는 매일밤 일찍 잠자리에 드는 수면 습관을 들였다. 또 대학 기숙사란 너저분하기 마련이지만, 내방을 깨끗이 치우고 깔끔하게 정리했다. 정말 별거 아닌 일이다. 그런데 이 작은 습관들은 스스로 인생을 관리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었다. 나는 자신감을 되찾아 나갔다. 스스로에 대한 신뢰가 쌓이자 수업태도도 달라졌고, 1학년 내내 전부 A학점을 받았다. (3) 습관은 꾸준히 형성되는 규칙적인 일(또는 행동)로서 대개 자동적으로 이뤄진다. 나는 사소한 습관들을 꾸준히 늘려나갔고, 이것은 처음 시작할 때는..
3-4. 데이터 송수신 규칙 프로토콜의 제어정보 '헤더'를 만든다. 헤더: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라면 헤더에는 출발지와 도착지 주소가 들어있다. 캡슐화: 각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헤더를 추가합니다. 헤더를 추가하는 처리 역캡슐화(비캡슐화): 프로토콜이 데이터를 받으면, 각 프로토콜 헤더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처리하여 헤더를 벗겨내고 다시 다른 프로토콜로 처리를 넘긴다.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웹브라우저의 데이터는 우선 HTTP헤더로 캡슐화되어 TCP로 넘어간다. TCP 헤더가 추가되고 다시 IP헤더가 추가된다. 마지막으로 이더넷헤더와 FCS(Frame Check Sequence)가 추가되며 네트워크로 내보낼 데이터 전체가 완성 FCS: 에러체크를 위한..

인증 21일차: 데일카네기 / 인간관계론 오늘 아침에 데일카네기 인간관계론을 모두 다 읽었다. 내 인생의 책 중 하나였다. 교훈에 있는 에피소드들을 하나하나 계속 반복하면서 읽었던거 같다. 어쩌면 어떻게 하면 인간관계에 있어서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어떻게하면 상대방으로부터 신뢰와 믿음을 얻을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에 대한 해답을 내줬다. 책에서 주는 교훈들을 실생활에 실천을 해봤다. 상대방의 의견에 경청하라 나의 의견과 생각에 매몰되지말고 내생각으로 상대방을 굴복시키지마라 상대방의 의견을 동의해주고 지지해라 상대방을 칭찬하자. 사소한 칭찬이어도 상대방에게 큰 힘이 된다. 상대방이 내 주장을 인정하도록 이끄는 과정은 조금 부족했지만 그래도 내가 상대방을 존중하고 있고, 의견을 소중히 여기고 있음을 행동으로..

3-1. 네트워크 공통언어 프로토콜: PC, 스마트폰 등이 통신하는 규칙 네트워크 아키텍쳐: 복수의 프로토콜 조합 TCP/IP 는 PC, 스마트폰 , 서버가 사용하는 통신규칙 중 하나이다. TCP/IP TCP, IP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토콜의 집합 네트워크의 공통언어 호스트: TCP/IP로 통신하는 PC와 스마트폰, 웹서버 등 각종 네트워크 기기를 의미한다. TCP/IP 계층구조 4계층 (OSI 참조모델은 7계층) 4개의 계층의 프로토콜이 모두 정상적으로 제기능을 해야 비로소 통신이 이뤄진다. 애플리케이션층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룰 데이터 형식과 절차를 결정한다 HTTP, SMTP, POP3, IMAP4, DHCP, DNS 등 트랜스포트층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할당한다. TCP, UDP 인터넷층 End-T..
인증 20일차 데일카네기 / 인간관계론 어느날 그애를 야단치려고 할때 나는 자신에게 이렇게 말했다. '데일카네기, 기다려! 기다려 보라고! 자네는 그녀보다 두배는 나이가 많지 않는가. 일의 경험도 비교할 수조차 없지. 어떻게 어린 그녀에게 자네가 가진 생각, 판단, 창의력 등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 잠시만 참아보게나. 자네는 열아홉에 어떠했지? 자네가 저지른 우둔하기 짝이 없는 실수들이 기억나지 않는가. 여러가지로 미흡했던 일들이 기억나지 않느냐고. 사실 조세핀은 내가 열아홉이던 때보다 훨씬 나았다. 말하기 부끄럽지만 나는 그런 그녀에게 칭찬 한번 제대로 해주지 않았다. 그 이후부터 그녀의 실수에 대해 말하고 싶을 때 나는, 조세핀, 실수를 했구나. 하지만 내가 저질렀던 실수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
- Total
- Today
- Yesterday
- jest
- OS
- 한달독서
- nestjs jest
- 클린아키텍쳐
- TDD
- RDBMS
- 개발용어
- 참고
- 스마트폰중독
- 미완
- 나도 할 수 있다
- 바이트디그리
- Nest.js
- node.js
- typeORM
- 디지털디톡스
- 한달어스
- IT용어
- MySQL
- Mongoose
- nestjs
- MongoDB
- Jekyll
- gem
- 습관개선
- vscode
- git
- 갓생살자
- TypeScrip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