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점? GET방식 GET 방식은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줄 때 사용한다. 어떤값이나 내용, 상태등을 바꾸지 않는 경우이다. 즉,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GET 방식은 데이터를 읽거나, 검색할 때 사용된다. POST 방식 서버상의 데이터 값이나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 사용된다. 리소스를 생성/업데이트 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된다. HTTP 의 Body에 담아서 전송한다. Body는 길이 제한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POST 요청은 캐시가 되지 않으며, 브라우저 기록에 남지 않고, 북마크에 추가할 수 없다. POST 요청에 대한 자원생성은 201(Created) HTTP 응답 코드..

CI (Continuous Integration) : 지속적인 통합 빌드/ 테스트 자동화 과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생길때마다 빌드와 테스트 과정을 거쳐서 공유 래포지토리에 통합 여러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된 코드 작업을 할 때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 커밋할 때마다 빌드와 일련의 자동 테스트가 이뤄져 동작을 확인하고, 변경으로 인해 문제가 생기는 부분이 없도록 보장. 여러명이 동일한 래포지토리에서 작업할 때 코드 수정과 변경으로 인한 문제를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위해서 커밋하게되면 공유 래포지토리에 변경사항을 반영하기 전에 빌드와 테스트를 실행하도록 하는 사전검토 과정이라고 이해했다. 도입목적은 여러명이 동일한 래포지토리를 작업할 때 코드충돌을 막기위해서..

배경 친한 동생과 대화하다가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대화의 핵심내용은 텐서플로우 가 라이브러리 인가 프레임워크 인가 입니다. 자료조사 중, 참조한 논문에서 '텐서플로우는 오픈소스 딥러닝 프레임워크'라고 정의되어 있고 라이브러리이긴한데 플로우 그래프 구조를 사용하는 프레임워크 이며 발표했을 당시에 지도교수님이 별말씀없으셨어요. 동생은 이를 근거로 '텐서플로우는 프레임워크'다 라는 주장을 합니다. 부끄럽게도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바로 떠오르지 못했습니다. 구글에 검색해본 결과 텐서플로우는 라이브러리 라고 정의되어있고 대학생 때 잠깐 발만 담근 경험이지만, 텐서플로우는 패키지를 통해서 다운로드를 해야되며 임포트해야만 텐서플로우 관련 함수를 불러다 쓸 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API 와 REST 와 REST API 와 Restful API 채용공고에서 백엔드 개발자의 자격요건이나 업무 내용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용어인데요. API와 Restful API가 무엇일까요?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웹 API는 클라이언트와 웹리소스 사이의 게이트웨이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웹에 접근하려는 사용자를 의미합니다. 클라이언트는 API를 이용하는 사람이거나, 소프트웨어 시스템일 수 있습니다. 리소스 리소스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정보 입니다. 리소스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숫자 또는 모든 유형의 데이터일 수 있습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리소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조직은 AP..

사내에서 사람들 간에 오가는 '말'과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 내가 말한 용어의 뜻을 알고 말하기 위해서 기술 스택 지식 공유나, 문제해결 공유 가 아닌 '개발용어' 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하게 된 이유는 로마인이 되려면 로마어를 알아야 하듯이 개발자가 되려면 개발용어를 알아야하기 때문이고 뜻을 정확하게 아는 상태로 용어를 꺼내서 말하는 건지 아니면 모르는데 아는 척으로 말로 포장하는건지 되도록이면 '아는척'이 아닌, '진짜로 알고 말하는 사람'이 되고 싶어서 였습니다. 어제 EBS의 '당신의 문해력+' 를 시청하면서 글을 읽어서 이해했다는 착각이 빈번하고, 실제로는 글을 놓치기도 합니다. 용어를 몰라서 무슨말인지 몰라서 사전을 찾아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제가 용어를 모르고, 이해했다는 착각을 경험했..
- Total
- Today
- Yesterday
- RDBMS
- MySQL
- 갓생살자
- 바이트디그리
- node.js
- 한달어스
- 한달독서
- OS
- 스마트폰중독
- TDD
- 습관개선
- IT용어
- 클린아키텍쳐
- gem
- Mongoose
- 개발용어
- MongoDB
- typeORM
- Nest.js
- 나도 할 수 있다
- nestjs
- TypeScript
- 참고
- 미완
- 디지털디톡스
- jest
- Jekyll
- vscode
- nestjs jest
- gi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