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문제사항]
nodemon의 경우에는 프로젝트의 서버로직의 수정이 있을 경우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서버를 실행해주는 역할이라서 작업하기가 편리한 환경을 준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jekyll 을 활용한 블로그의 경우에는 변경사항이 생기면 (macOS) cmd + c 단축키로 명령어를 취소하여
다시 껐다가 재실행 시켜야했는데요.
nodemon 처럼 변경사항을 바로 서버에 반영시켜서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찾아 봤습니다.
nodemon 처럼 바로 반영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5~10초 뒤에 바로 반영하여 자동으로 서버를 재실행 합니다.
[해결방안]
jekyll 로 서버를 실행하는 명령어에 --livereload 라는 옵션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 bundle exec jekyll serve --livereload
728x90
반응형
'Backend > 꾸준히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관련 "개발용어"에 익숙해지자 2편 - Restful API 와 TDD (0) | 2022.08.03 |
---|---|
IT관련 "개발용어" 에 익숙해지자 1편 - 유지보수 와 리팩토링 (0) | 2022.08.02 |
좋은 git commit 메시지 작성하기 위한 7가지 약속 (0) | 2022.07.22 |
Node.js - Nodemon (0) | 2022.07.21 |
git pull request, git fetch CLI (0) | 2022.07.19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나도 할 수 있다
- Nest.js
- git
- 참고
- jest
- nestjs
- OS
- node.js
- MongoDB
- vscode
- RDBMS
- TDD
- Mongoose
- TypeScript
- 습관개선
- 스마트폰중독
- 바이트디그리
- 한달어스
- 한달독서
- 디지털디톡스
- Jekyll
- 개발용어
- nestjs jest
- MySQL
- 클린아키텍쳐
- typeORM
- 미완
- 갓생살자
- gem
- IT용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