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꾸준히 TIL
[Node.js/HTTP 통신 테스트] query와 params의 차이
개발하는 후딘
2022. 10. 7. 09:19
728x90
반응형
1. req.query
라우터에서는 요청URL/:id 의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URL에 직접 :id 에 대한 값을 넣습니다.
req.params 를 콘솔에 출력하면
{ id: "630f7813fa742fca7836ad92" } 로 출력이 됩니다.
주로 GET 방식을 사용하며, 경로의 각 쿼리문자열 매개변수 에 대한 속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req.params
? 다음에 요청하려는 key값에 대한 value 값을 URL에 드러냅니다.
요청URL?(key)=(value) 형식 으로 요청을 합니다.
query와 마찬가지로 URL에 요청값이 드러납니다.
3. req.body
JSON, XML 등으로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는게 아닌 담아서 보내줍니다.
특히 form(폼) 데이터를 보낼 때 요청 본문에 제출된 키-값 데이터 쌍을 저장합니다.
[참고자료]
728x90
반응형